[스크랩] 호랑이 이야기 (1) : 은혜갚은 호랑이 / 희방사 喜方寺
호랑이 이야기 (1) : 은혜갚은 호랑이
호랑이 이야기 (1) : 은혜갚은 호랑이 / 희방사 喜方寺
지금으로부터 약 1300년 전 두운杜雲 조사가
지금의 희방사 절터에 작은 토굴을 짓고 그 속에서 공부하고 있었다.
어느 해 겨울 커다란 호랑이 한 마리가 나타나 고개를 쑥 빼고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처음에는 겁이 나서 곁에 못 가다가 자세히 살피니
오히려 구원을 청하는 듯 전혀 살기가 없어 보였다.
호랑이는 앞발로 목을 털며 안절부절하는데 목이 부어 있었다.
조사는 손에 기름을 바르고 호랑이 목에 깊숙히 팔을 넣어 목구멍이 걸린 물건을 빼냈다.
그것은 여자의 은비녀였다.
- 이 놈, 사람을 잡아먹다가 이 꼴이 되었구나!
내 너의 행실만 생각하면 마땅히 매로 때려 죽일 것이로되 산 목숨이 더 중하니 용서한다. 다시는 그런 짓을 하지 말라.
며칠 후 호랑이는 17,18세 되는 꽃 같은 처녀를 업고 와서 내려 놓고는 달아나 버렸다.
얼마 후 기절한 처녀가 정신을 차렸다.
그녀는 경주 서라벌 계림에 사는 호장 유석의 딸인데 결혼식을 치르고 신방으로 가는 도중 호랑이에게 붙잡혀 왔다고 했다.
하지만 산에 눈이 첩첩 쌓인 때문에 봄이 될 때까지는 돌려보낼 방법이 없었다.
단칸방에서 스님과 처녀는 봄이 올 때까지 함께 살았다.
하지만 스님은 천생연분이라면서 함께 살기를 바라는 처녀의 유혹을 완강히 물리치고 석 달을 지냈다.
그리고 눈이 녹자 처녀를 데리고 서라벌로 갔다.
마침 처녀의 집에서는 처녀의 혼을 달래는 굿을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나타난 그녀를 보고 귀신이 나타난 줄을 알고 모두 깜짝 놀랐다.
처녀는 아버지에게 지금까지의 일을 모두 이야기 했고
처녀의 말을 들은 유석공은 스님의 손을 잡고 백배 사례했다.
그리고 후에 사람을 보내 토굴을 헐고 아담한 절을 지었는데
이름을 희방사喜方寺라고 하였다.
* 경주 중생사의 호랑이 그림.
낮 밤
사찰에서 호랑이 그림 / 조각
사찰의 불전 장식화 중에서 흔히 호랑이의 그림이 있다.
민화에서 많이 그려지는 호랑이 그림과 표현 방법이나 내용에 크게 차이가 없다.
까치와 호랑이,
호랑이 한마리,
호랑이가 담배 피운 이야기,
산신山神의 시자侍者로서의 호랑이 그림 등 다양하다.
어떤 사찰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전생에 보살이었을 때 굶주려 죽게 된 호랑이 가족을 살리기 위해 몸을 보시했다는 본생담 내용이나,
희방사 오누이탑 전설 등 호랑이에 얽힌 이야기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도 있다.
1) 까치호랑이그림
민화의 까치호랑이그림의 전형으로, 까치가 소나무 가지에 앉아 호랑이에게 무언가를 지저귀고 있는 장면이다.
까치호랑이 그림은 민화에서 세화歲畵(새해맞이 그림)의 하나로 까치, 호랑이, 그리고 소나무를 기본요소로 하고 있다.
때로 바위, 불로초, 난초 등이 곁들여 그려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은 그림에 상징적 의미와는 관련이 없다.
까치가 한 마리일 경우도 있고 두 마리일 때도 있다.
민화에서 한 쌍의 새는 음양의 조화나 남녀 화합을 상징하나,
호작도의 까치는 그런 것과 상관 없이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기쁨의 상징형으로 존재한다.
그림의 뜻은
서낭신의 사자使者인 까치가 호랑이에게 신탁神託을 전하는 내용이라는 주장도 있고,
약자의 상징인 까치가 강자인 호랑이를 조롱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호작도에서 호랑이는 <보報>를 의미한다.
호작도의 전신前身이 까마귀표범그림인데, 표범은 <표豹>와 <보報>의 중국식 발음이 서로 같다는 이유에서 <보답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결국 까치호랑이그림은 세시를 맞아 기꺼운 마음으로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호랑이'글에 그림이 있습니다( http://blog.daum.net/chefjhkim/12376710)
2) 호랑이 단독의 그림
호랑이의 용맹성을 빌리는 벽사용의 그림.
3) 산신도
산신도는 산신각에 단독으로 봉안되거나 칠성도, 독성도와 함께 삼성각三聖閣에 모셔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산신도는 선풍도골仙風道骨 풍의 노인이 호랑이 옆에 거느리고 소나무 아래 앉아 있는 모습인데,
호랑이의 표정은 권위와 용맹성 같은 모습이 아니라 유순하고 온화한 모습이다.
산신은 원래 불교의 신중이 아닌 한국 고유의 토착신이며, 당초의 산신 신앙은 호랑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풍습에 <호랑이에게 제사를 드려서 그것을 신으로 섬긴다.>라는 기록도 있듯이
우리나라 산신신앙의 대상이 신격神格을 가진 호랑이였다.
그러나 산신도를 보면 호랑이가 산신님의 시종侍從처럼 묘사되어 있는데, 이런 현상은 자연신인 호랑이의 신격이 <산신님>으로 인격화된 것이다.
자연신인 호랑이, 호랑이의 신격이 의인화된 산신, 그리고 우주목으로서의 소나무, 이 세 가지 기본 요소들이 구성되어 있다.
불교적이라기 보다는 서민적인 욕망과 정서를 담고 있으며, 주로 민간인들에 의해 요구되고 향유되던 것이
불전 장식으로 정착할 수 있음은 한국불교의 너그러운 포용력과 자신감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작은 행복을 함께 나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