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사진/친족계.촌수

[스크랩] 촌수계보도

호온산업 2014. 9. 1. 18:05

 

 

1) 우리 나라의 호칭 예절
  ① 다른 나라에 비해 발달
  ② 같은 사람이라도 상황에 따라 호칭이 달라짐
  ③ 우리의 문화와 풍습을 보여주는 상징어이자 예절

대상자 내가 부를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비 고
 
부 모
 아버지, 아버님, 어머니, 어머님 부친, 모친 다른 사람의 부모 : 부친, 모친
부부
 남 여보, 당신 남편, 바깥양반 다른 사람의 남편 : 부군, 바깥양반
여 여보, 당신 아내, 안사람, 집사람 다른 사람의 아내 : 부인, 영부인, 안어른
형 수 아주머니, 형수님 형수씨 집안의 어른에게 말할 때 : 아지미, 아주미, 형수 
제 수 제수씨, 수씨 제수씨, 수씨 집안의 어른에게 말할 때 : 00댁, 제수


친척 간의 호칭

4. 친척 간 호칭의 잘못된 예와 바른 예

대상자 잘못된 호칭 바른 호칭
남편의 남동생 00씨, 00삼촌, 00작은아버지 도련님(미혼), 서방님(기혼) 
남편의 남동생의
아내 00숙모, 00작은어머니  동서
남편의 여동생 00씨 아기씨, 아가씨

 호칭 예절
 
평가 문제
 

1. 다음 중 친척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
 ① 부부의 상대방
 ② 할아버지의 형제
 ③ 나와 매우 가까운 이웃
 ④ 혼인으로 인하여 맺어진 사람
 ⑤ 조상으로부터 피를 나눈 사람

2. 촌수를 따지는 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시조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합  
 ② 시조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차
 ③ 공동 조상으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합
 ④ 공동 조상으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차
 ⑤ 공동 조상으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부모에 이르는 세대 수의 차

3. 다음 중 3촌의 관계가 아닌 경우는 ?

 ① 작은아버지와 나                          ② 고모와 나
 ③ 내 동생과 큰아버지                      ④ 할아버지와 작은 아버지
 ⑤ 어머니와 이모의 자녀

 4. 친척 간의 호칭 예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친척 간의 호칭은 촌수에 따라 붙여진다.                       
 ② 사람이 같으면 어떤 경우라도 호칭이 같다.
 ③ 우리 나라에는 호칭 예절이 발달되어 있다.                   
 ④ 호칭은 우리 문화와 풍습을 보여 주는 상징어이자 예절이다.
 ⑤ 호칭은 그 대상을 직접 가리키는 경우와 다른 사람을 지칭하는 경우에 달라
     진다.

출처 : 울산호계교회할렐루야찬양대
글쓴이 : 바르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