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 나라의 호칭 예절
① 다른 나라에 비해 발달
② 같은 사람이라도 상황에 따라 호칭이 달라짐
③ 우리의 문화와 풍습을 보여주는 상징어이자 예절
대상자 내가 부를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비 고
부 모
아버지, 아버님, 어머니, 어머님 부친, 모친 다른 사람의 부모 : 부친, 모친
부부
남 여보, 당신 남편, 바깥양반 다른 사람의 남편 : 부군, 바깥양반
여 여보, 당신 아내, 안사람, 집사람 다른 사람의 아내 : 부인, 영부인, 안어른
형 수 아주머니, 형수님 형수씨 집안의 어른에게 말할 때 : 아지미, 아주미, 형수
제 수 제수씨, 수씨 제수씨, 수씨 집안의 어른에게 말할 때 : 00댁, 제수
친척 간의 호칭
4. 친척 간 호칭의 잘못된 예와 바른 예
대상자 잘못된 호칭 바른 호칭
남편의 남동생 00씨, 00삼촌, 00작은아버지 도련님(미혼), 서방님(기혼)
남편의 남동생의
아내 00숙모, 00작은어머니 동서
남편의 여동생 00씨 아기씨, 아가씨
호칭 예절
평가 문제
1. 다음 중 친척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
① 부부의 상대방
② 할아버지의 형제
③ 나와 매우 가까운 이웃
④ 혼인으로 인하여 맺어진 사람
⑤ 조상으로부터 피를 나눈 사람
2. 촌수를 따지는 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시조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합
② 시조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차
③ 공동 조상으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합
④ 공동 조상으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그 친족에 이르는 세대 수의 차
⑤ 공동 조상으로부터 나에 이르는 세대 수와, 부모에 이르는 세대 수의 차
3. 다음 중 3촌의 관계가 아닌 경우는 ?
① 작은아버지와 나 ② 고모와 나
③ 내 동생과 큰아버지 ④ 할아버지와 작은 아버지
⑤ 어머니와 이모의 자녀
4. 친척 간의 호칭 예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친척 간의 호칭은 촌수에 따라 붙여진다.
② 사람이 같으면 어떤 경우라도 호칭이 같다.
③ 우리 나라에는 호칭 예절이 발달되어 있다.
④ 호칭은 우리 문화와 풍습을 보여 주는 상징어이자 예절이다.
⑤ 호칭은 그 대상을 직접 가리키는 경우와 다른 사람을 지칭하는 경우에 달라
진다.
'가족사진 > 친족계.촌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윤달이란 윤년 윤일 윤달은 몇년 만에 돌아오나요. 음력 양력 `윤달`이나 `평달`이란 말은 음력에만 있다 양력 2월달은 대개 28일까지 있는데, 어쩌다 29일까지 (0) | 2017.07.23 |
---|---|
[스크랩] 윤달이 있는 해와 달 = 윤달은 어느해 어느달에 들어갈까? (0) | 2017.07.23 |
[스크랩] 친척간 호칭 과 촌수 따지는법 [특집] (0) | 2014.09.01 |
[스크랩] [ 기제사 ] 촌수계보도 (0) | 201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