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대통령 시해음모 쥐 그리다 끌려갔으니 고양이 그리다 끌려가면 대통령 시해음모가 된다던가? 그래서 준비한 짤방. 작품명 대통령 시해음모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1.10
[스크랩] 자신을 보아라. 당신이 세상을 얻어도 자신을 보지 않으면 불행해진다. 자신의 삶을 보아라. 돈도 권력도 그 밖에 모든 것들이 당신을 채울수 없다. 당신을 보아라. 당신의 마음은 세상을 탐하지 않는다. 자신에서 나를 찾아라. 그곳에서 생명을 찾아라. 그안에서 기쁨과 평화를 얻어라. 세상것을 아무리 얻어도 당신..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29
[스크랩] 용서를 하면 그대가 자유러워집니다. 용서를 한다는 것은 내가 아파야 한다. 나를 극복해야 타인을 받아줄 수 있다. 용서는 자신에 대한 자신의 이해이다. 삶은 수 많은 아픈 일들이 지나가며 바람을 만듭니다. 우리 인간이 만든 아픔은 또 다시 인간에 의하여 풀어야 합니다. 깊고 깊은 상처일수록 용서는 멀고 먼 이야기가 됩니다. 아무리..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29
[스크랩] 자식목숨값을 노리고 20년만에 나타난 도둑부모들! 자식목숨값을 노리고 20년만에 나타난 도둑부모들! ▲ 3월 침몰한 천안함(출처-TV리포트) 26년 전 두 살 때 집나간 친모 천안함 보상금 나에게 반 달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7/03/2010070300019.html?Dep0=chosunnews&Dep1=related&Dep2=related_all 두 살 때 이혼 후 남남으로 지내던 아버지 보상금 반 타가 http..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21
[스크랩] 매창, 유희경 & 직소폭포 : 부안삼절의 아름답고 슬픈 이야기 부안삼절 : 매창, 유희경 그리고 직소폭포 황진이黃眞伊와 박연폭포朴淵瀑布 그리고 화담 서경덕徐敬德을 송도삼절이라고 부른다. 개성의 명기名妓 황진이가 당시 개성의 명사인 고승高僧 지족선사知足禪師와 명유名儒 서경덕을 유혹하였는데, 지족선사는 그녀의 유혹에 빠져 파계를 하였으나 서경..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21
[스크랩] 흔적 痕迹 : 통도사 선자바위 흔적 痕迹 : 통도사 선자바위 통도사 입구에서 걸어 가다 보면 흥미로운 유적들도 만날 수 있다. 보행로 한 쪽 옆에 일정한 간격으로 석등이 10여개 서 있다. 일제 때 만들어진 이 석등은 야간 불을 밝히는 역할과 함께 땅의 구역을 표시하는 기능도 겸했다고 한다. 길 옆에는 10여개의 바위마다 음각으..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14
[스크랩] 안에서 새는 바가지는.... 삶에서 문제가 있는 사람은 안에서나 밖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건전한 대안은 문제가 아니라 권장해야 할 일이다. 가정에서 항상 문제를 만드는 사람은 사랑결핍에 이기심으로 사는 인생이 많다. 사랑하라. 관심을 끌기 위하여 그렇게 하고 있다, 사랑으로 안아주고 마음으로 성숙할 때가지 같이해 주..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14
[스크랩] 장독 이야기 장독 이야기 양산 통도사의 산내암자인 서운암. 이 서운암은 낮은 야산에 야생화가 가득하여 아름답기도 하지만, 서운암에서 담그는 각종 장류醬類가 유명하다. 그 장을 가득 담고 있는 장독이 보기에도 가을의 곡식처럼 풍성해 보인다. 우리네 어른들은 이월초아흐렛날을 [장 담그는 날]이라 하였다...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08
[스크랩] 부모님들이여, 자녀들을 사랑에 그릇을 만들어야 한다. 부모님들이여, 자녀들을 세상에 출세 시키고 자신만의 이기심으로 사는 자녀를 키우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가 살땐 돼지 우리처럼 자연적으로 살다가, 자녀들은 오냐 오냐 키워 살모사를 만들지 않았습니까? 삶을 생각 해보면 한 일은 자녀를 난것 밖에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습니다. 선배들은 고운자..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02
[스크랩] 통도사 삼성반월교三星半月橋 통도사 삼성반월교三星半月橋 통도사 삼성반월교三星半月橋 . 통도사는 옆에 긴 계곡을 끼고 있다. 주차장에서 경내로 들어 가기 전 사찰의 초입에 계곡을 건너기 위해 만들어진 아름다운 다리가 있다. 계곡 속에 2개의 교각을 세우고, 네모진 돌들로 만들어진 것이 다리 아래로 보면 3개의 반달 모양.. 건강 및 생활/상식.문화.시사 2010.10.02